티스토리 뷰
목차
이번 시간은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 소개하는 마지막 시간으로 GDP 디플레이터와 고용비용지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실상 해당 지표들은 앞서 소개된 CPI, PPI, PCE와 같이 연준에서 바라보는 핵심지표는 아니지만, 월스트리트의 전문 투자자 혹은 주식 중개인들이 관심 가지는 지표 역할을 수행하므로 이번 시간에 간략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기타 지표들
GDP 디플레이터(GDP Deflator)
GDP 디플레이터란 GDP의 변동치를 나타내는 지수로, 쉽게 말해 국가 내에서 생산되는 재화와 서비스 가격의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특정한 연도의 GDP를 1 혹은 100으로 두고 비교하고자 하는 연도의 물가의 GDP를 상대적 수치로 나타낸 값입니다. 사실 주식시장에서 GDP 디플레이터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데 분기별로 발표되다는 점에서 선행지표가 아닌 지행지표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소비자물가지수와 달리 GDP 디플레이터에 포함 되는 품목들의 가격이 다소 낮게 평가되며, GDP는 국가 내에서 생산된 제품과 서비스만을 통계에 포함하기에 수입품의 가격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DP 디플레이터는 소비자물가지수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기에 적지않은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이는 지표입니다.
고용비용지수와 평균임금
미국의 노동부는 매달 고용보고서를 통해 시간당 평균임금을 발표합니다. 연준은 임금 인플레이션을 가늠하기 위해 해당 지표들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그러나 주의 해야할 점이 세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 고용비용지수는 초과근무로 인한 비용증가를 나타낼 수 없습니다. 만일 잔업을 하는 노동자가 4시간을 초과근무하여 평균임금의 1.5배를 지급 받았다더라도 평균임금이 증가했다고 반영됩니다. 두번째, 노동자의 구성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한 건설업체에서 경험이 적은 직원들을 경험이 풍부한 직원들로 배치한다면 바뀐 것은 노동 구성원 뿐이지만 데이터 상으로는 해당 업계의 임금이 올랐다고 표시됩니다. 세번째, 시간당 평균임금은 급여의 변화만 측정하기에 사내 복지의 혜택은 반영하지 못합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많은 기업들이 휴가비, 질병수당, 퇴직금 등을 지급하는데 이러한 수익 또한 노동수익에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다른 부차적인 수입이 급증하더라도 공식적인 급여가 아주 천천히 오른다면 고용비용지수는 임금 인플레이션을 알아차리지 못합니다.
그밖의 인플레이션 지표들
위의 지표들은 직접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지표들이며 각 지표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그 외에도 인플레이션의 움직임을 읽는 데 유용한 간접적 지표들도 많이 있습니다. 주택 건설량, 내구재 수주량, 제조업 지수, 공장 가동률 등이 해당 지표들에 해당하며 지표 값들의 등락을 통해 경기 과열과 경기 침체의 국면을 예측하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인플레이션을 기술적으로 분석하는 여러 지표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미국 연준 위원들이 왜 발표되는 지표들에 큰 관심을 기울이는지 살펴 보았고, 지표들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공부를 통해 매일 아침 발표되는 뉴스기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가만히 있는 것과 아무것도 모르고 가만히 있는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앞으로도 서로 다른 경제 지표들을 추적하여 성공적인 투자를 이어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더 많은 인플레이션 시리즈가 궁금하다면?
[인플레이션 시리즈 1탄] 👉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인플레이션의 종류 - 수요 견인, 비용 인상, 임금
[인플레이션 시리즈 2탄] 👉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 - 소비자물가지수(CPI), 근원소비자물가지수(Core CPI)
[인플레이션 시리즈 3탄] 👉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 - 생산자물가지수(PPI)
[인플레이션 시리즈 4탄] 👉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 - 개인소비지출(PCE)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수당 청구 건수 - 경기침체의 신호탄 (42) | 2022.10.06 |
---|---|
PMI 지수란? - 경기침체의 신호탄,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에 대해 알아보자 (39) | 2022.10.05 |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 - 개인소비지출(PCE) (42) | 2022.10.03 |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 - 생산자물가지수(PPI) (36) | 2022.10.02 |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 - 소비자물가지수(CPI), 근원소비자물가지수(Core CPI) (25) | 2022.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