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지난 시간에는 인플레이션이 무엇이며, 어떠한 원인들이 인플레이션을 야기시키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국가 경제에 인플레이션이 고개를 들기 시작하면 정부와 중앙은행은 다양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실시합니다. 그리고 이 행동은 항상 증시에 많은 파장을 불러 일으키기에, 개인 투자자라면 깊은 주의를 가지고 인플레이션에 대비하여야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주식시장의 호랑이, 인플레이션이 다가오는지 알 수 있을까요? 이번 시간에는 인플레이션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들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 Co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는 가장 중요한 인플레이션 지표이다.

    소비자물가지수 CPI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사용하는 재화나 서비스들을 모아 만든 가격 지표로, 주식 투자자들이 가장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는 인플레이션의 핵심 지표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치 못하게 변화하면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실제 올해들어 매달 예측치를 뛰어넘는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됨에 따라 주식시장이 크게 요동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위에 제시된 차트는 소비자물가지수를 구성하는 제품과 서비스의 주요 범주들과, 각 범주의 상대적 중요도를 표시한 자료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범주는 주택으로, 전체의 40%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합니다. 주택의 가격은 소유자 등가 임대(OER: Owner's Equivalent Rent)라는 방식으로 산정되며, 주택의 소유자가 자신의 집과 동일한 규모와 서비스를 누리기 위해 소비해야 하는 지출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자신의 집을 월세로 살기 위한 비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기에 소비자물가지수가 안정되기 위해서는 주택 가격의 안정화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 외에도 운송, 식품, 오락, 교육, 의료 등의 항목이 포함됩니다.

    CPI가 치솟는다면 대개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압력이 발생하고 있다는 뜻이고, 이는 연준이 금리 인상을 통해 수요를 낮출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과 연준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의 둔화를 짐작하기 위해 다른 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것은 어떤 소비자물가지수일까요?

     


    근원소비자물가지수(Core CPI)

    연준의 관심은 근원소비자물가지수이다.

     

    근원소비자물가지수 Core CPI
    출처 : 미국노동통계국


    근원소비자물가지수(Core CPI)란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식품과 에너지 비용을 제외한 것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실제로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분석할 때 근원소비자물가지수를 더 주의 깊게 살펴봅니다. 무슨 이유 때문일까요? 바로 CPI와 Core CPI를 비교함으로써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과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식품과 에너지는 가격 변동이 매우 심하며 통제 불가능한 외부적 상황(전쟁, 천재지변)에 의해 가격이 좌지우지되기도 합니다. 즉 공급의 불안정성에서 발생되는 물가상승 지표로, 이는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의 전조가 됩니다. 이미 설명했듯이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은 금리를 올린다고 치유되는 것이 아닙니다. 금리 인상으로 인해 더 극심한 경기 침체가 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연준은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이 근원인플레이션율을 증가시킬 때에는 재빨리 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에너지나 식품처럼 공급 감소로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의 압력이 발생했을 때에는 훨씬 더 조심스럽게 행동해야 합니다. 이 두 가지 핵심지표가 나타내는 바를 잘못 해석해 잘못된 결정을 내린다면 경제는 큰 충격을 입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기술적으로 인플레이션을 가늠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처럼 인플레이션을 해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연준의 정확한 판단과 적절한 조치가 수반되어야 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소비자물가지수 말고도 인플레이션을 가늠하게 하는 지표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임금 인플레이션이 궁금하다면?

    [인플레이션 시리즈 1탄] 👉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인플레이션의 종류 - 수요 견인, 비용 인상, 임금

    [인플레이션 시리즈 2탄] 👉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 - 소비자물가지수(CPI), 근원소비자물가지수(Core CPI)

    [인플레이션 시리즈 3탄] 👉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 - 생산자물가지수(PPI)

    [인플레이션 시리즈 4탄] 👉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 - 개인소비지출(PCE)

    반응형